[정보처리산업기사] 명령어의 구성
2019. 4. 9. 11:43ㆍIT
연산자(Operation Code)부 / 자료 (Operand)부
연산자부 (명령어의 개수)
- 수행해야 할 동작에 맞는 연산자를 표시하며 흔히 op-code부라고 함
- 연산자부의 크기(비트 수)는 표현할 수 있는 명령의 종류를 나타내는 것으로, nBit 일 때 2^n 개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음. (4bit -> 2^4 = 16개 사용가능)
- 연산자부에는 주소부의 유효 주소가 결정되는 방법을 지정하기 위한 모드 비트를 추가하기도 함(0 : 직접, 1: 간접)
자료부 (기억장소의 크기)
- 자료부는 실제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부분으로 주소필드(Adress field)라고도 함
- 기억장소의 주소, 레지스터 번호, 사용할 데이터 등을 표시함
- 자료부의 크기는 메모리의 용량과 관계가 있음.
- 용량 2^n 기억장소의 크기
'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화웨이] 화웨이의 문제.... (0) | 2019.05.24 |
---|---|
[정보처리산업기사] 연산(AND, OR, XOR) (0) | 2019.04.09 |
[정보처리산업기사] 자료 표현 코드(BCD 코드) (0) | 2019.04.08 |
[정보처리산업기사] 부동 소수점 수의 연산 방법 (0) | 2019.04.08 |
[VirtuallBox] window10 해상도 적용하기 (0) | 2019.03.26 |